고품질 상추 생산, 병해 제대로 알고 방제해야
상태바
고품질 상추 생산, 병해 제대로 알고 방제해야
  • 월간원예
  • 승인 2020.03.04 16:32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결구상추는 샐러드로 이용하므로 농약살포를 줄이고 경종 재배방법으로 병충해를 줄이도록 재배하는 것이 고품질의 상추를 생산하는 기술이라 할 것이다. 그러기 위해서는 내병성품종 선택과 과습을 피하고 질소질보다는 칼리, 인산, 고토석회, 규산질비료 등을 시비하고 연작을 피하는 것이 좋다. 그러나 경종적 방법이 곤란할 때에는 병명을 알고 방제해야 한다. PLS에 등록된 약제를 통해 안전한 방제에 대해 알아본다.

 

무름병

병원균 (pectobacterium carotovonnn subsp. cartovorum)
병원균 (pectobacterium carotovonnn subsp. cartovorum)

병원균 (pectobacterium carotovonnn subsp. cartovorum)
• 토양에 사는 세균의 일종으로 발육적온은 32~35도의 고온이고 중성이나 약알칼리성에서 잘 자란다.

피해증상
• 땅가 부근에서부터 수침상의 병반이 생겨 물러 썩으며, 포기전체가 부패한다. 병환부에서는 악취가 난다.
발병 환경 및 특징
• 토양전염하며, 물을 따라 이동하여 식물체의 상처부위를 통해 침입한다.
• 온도가 30도 내외의 고온이고 비가 자주 와서 다습하면 발생이 많다.
• 질소질비료의 편용에 의하여 식물이 언약하게자랄 때 발생이 많아진다.

 

방제 방법
• 이어짓기를 피하고 화볼과 작물로 2~3년간 돌려짓기를 한다 .
• 다습한 저습지나 배수가 불량한 찰흙토양에서의 재배를 피하고 상습발생지는 고랑을 갚게 파는 등의 배수관리를 철저히 한다.
• 발병초기 적용약제를 살포하여 방제한다.

 

 

균핵병

병원균
• 곰팡이의 일종으로 균핵과 자낭포자를 형성하며, 균핵과 땅 표면에서 20년간 생존하지만
토양 속에서는 2~5년간 생존한다. 병원균의 발육적온은 20도 내외로 저온균에 속한다.

피해증상
• 땅과 닿는 부분에 수침상의 병반이 생겨 아래위로 진전하며, 눈처럼 흰균사가 생긴다.
병환부는 물러 썩으나 냄새는 없고, 그 부위에 쥐똥과 같은 균핵이 생긴다.

발병 환경 및 특징
• 무가온 시설재배 시는 온도가 낮고 다습할 때 많이 발생한다
• 노지에서는 기온이 20도 전후에 비가 자주 올 때 발생한다.
• 질소질비료를 많이 주어 쇠약하게 자라거나 웃자라면 발생이 많아진다

 

방체방법
• 포장환경 : 시설재배 포장에서는 저온다습하지 않도록 추의한다
• 재배적 방법 : 정식 후 비닐을 멀칭 하여 재배하면 멀칭하지 않은 재배에 비해 병 발생
억제 효과가있다
• 병든 식물체는 그 주변의 흙과 함께 일찍 뽑아내어 땅속 갚이 파묻는다
• 약제방제 : 작물보호저(농약) 사용지침서와 농약정보서비스의 적용 병해충 및 농약안전
사용기준을 준수하여 적용약제를 살포한다.

 

 

 

 

달팽이

형  태
• 껍질이 있는 종으로 서식처에 따라 체색, 껍질의 두께, 성장맥, 코기 등이 다양하다. 자웅동체이며 성체는 각고 21mm, 각경 20mm 내외이다

피해증상
• 노지와 시설 모두 각종 농작물에 피해가 많다. 잎을 불규칙한 모양으로 가해하고 잎위에
광택이 있는 흔적이 보인다. 나방류 해충의 유충 피해와 비슷하나 달팽이가 지나간 자리에
점액이 말라붙어 있어 햇빛에 하얗게 반사되는 점으로 구별할 수 있다.

발생생태
• 연 1회 발생하는 것이 일반적이지만 간혹 2회 발생하기도 한다. 겨울에는 성체 또는 유체로몸체를 껍질 안에 집어넣고 땅속에 반매몰된 상태로 월동한다. 1마리당 100개 내외의 알을 낳는다. 알은 15~20일 만에 부화하며 부화한 어린 달팽이는 가을까지 식해한다.

방제방법
• 땅에 석회가 부족할 때 피해가 코고 다습한 유기물이 많은 곳에도 많이 발생하므로 석회를
사용한다.
• 온실 내의 채광과 통풍을 조절하여 습기를 줄여 발생을 억제하며 발생이 많을 때는 유인제를 이용하여 유살한다. 

 

 

잿빛곰팡이병

 

병원균

• 곰팡이의 일종으로 분생포자와 잘 발달하지 못한 균핵을 형성한다. 분생포자의 형성적온은
10도이고, 균사의 생육적온은 20도 내외로 저온균에 속한다.

피해증상
• 땀과 닿는 부분에 수침상 병무늬가 생기며, 표면에 햇빛의 곰팡이가 생긴다.
• 잎 끝부분에서 감염이 시작될 때는 잎이 갈색으로 오그라들고, 다른 잎으로 병이 전염된다.

발병 환경 및 특징
• 봄과 가을의 서늘한 기후와 시설재배지의 다습한 환경에서 심하게 발생한다.
• 병원균은 병든 식물체의 잔재나 토양에서 균사 및 균핵의 형태로 겨울을 보내고 1차 전염 원이 된다.

 

방제방법
• 포장환경 : 시설 내의 온도를 20도 이상으로 높이고 다습하지 않도록 환기와 동풍에 주의한다.
• 재배적 방법 : 병든 부위는 일찍 제거하고 수확 후 병든 식물체가 남아있지 않도록 포장
위생에 주의한다.
• 약제방제: 작물보호제(농약) 사용지침서와 농약정보서비스의 적용 병해충 및 농약만전
사용기준을 준수하여 적용약제를 살포한다.

 

 

 

 

 

 

 

 

모자이크병

병원체
• lettuce mosaic virus

피해증상
• 잎에 짙고 열은 모자이크 무늬가 형성 된다.
• 어린잎은 잎이 말리거나 기형으로 되며, 포기 전체가 심하게 위축된다.
• 온도가 높을 때는 앞에 반점이 생기고 후에는 괴저형의 반점으로 된다.

발병 환경 및 특징
• 종자전염, 즙액전염 및 진딧물에 의해서 전염이 된다.
• 국내의 전 지역에 분포되어 있고, 상추에서만 병이 발생되는 것으로 보고되어 있다.

 

방제방법
• 종자 소독을 철저히 한 후 파종한다.
• 진딧물이 전염시키므로 진딧물의 기주를 제거한다.
• 등록된 살충제를 살포하여 진딧물을 방제한다.
• 전염원이 되는 병든 식물은 발견 즉시 제거한다.

 

 

 

 

 

 

 

 

노균병

병원균
• 병원균은 직접 잎 표면의 각피를 뚫고 침입하며, 가끔 기공을 통해 침입하기도 하며, 난포자의 형태로 병든 식물의 잔재물에서 월동하여 전염원이 된다.

피해증상
• 전 생육기에 발생되며, 처음에는 잎 표면에 부정형의 퇴록반접이 생기며, 담황색을 띠는데, 주로 아랫엎부터 발생된다
발병 환경 및 특정
• 조균류의 일종으로 분생포자와 난포자를 형성한다. 분생포자의 발아적온은 6~10도이며, 형성적온은 8~5도이다.
• 종자전염 가능성은 거의 없고, 병든 식물체 내에서 균사나 난포자 상태로 겨울을 지낸 후
다시 1차전염원으로 활동한다.

 

방체방법
• 재배적 방법 : 병든 잎은 일찍 제거하고 수확 후에는 병든 식물의 잔재물이 남지 않도록 모아서 토양 깊이 묻는다.
• 생육후기에 비료기가 떨어지지 않도록 충분히 시비한다.
• 약제방제 : 작물보호제(농약)사용지침서와 농약정보서비스의 적용 병해충 및 농약안전 사용기준을 준수하여 적용약제를 살포한다.

 

 

 

 

 

 

 

 

 

파남나방

형  태
• 성층의 앞날개는 폭이 좁고 황갈색이며, 날개 중앙에 청백색 또는 황색점이 있고 옆에 콩팥무늬가 있다.
• 유충은 몸색깔변이가 심하여 황록색~흑갈색이고, 보통은 녹색인 것이 많다. 녹색형은 기문 주변에 주홍색의 꼬리를 가지고 있고, 때때로 각 마디 등면에 검은 막대형 무늬가 있다.

피해증상
• 결구상추의 잎을 가해하는 해충으로, 성출이 산란한 유출이 군데군데 잎을 갉아 먹어 잎에
구멍이 뚫리기 때문에 상품성이 없어진다.
• 성층이 알을 산란하기 시작하는 5월부터 10월 하순까지 피해가 심하다.
발생생태
• 노지에서 1년에 4~5회 발생하며, 6월부터 10월까지 발생한다. 강원도에서는 봄 작기 6월 중순~7월 상순, 가을 작기 9월 상순~10월 상순에 가장 많이 발생한다.

방제방법
• 3~4령이 지난 노숙유충은 약제에 대한 내성이 생길 수 있으므로, 트랩설치를 통한 예찰로 성충 초기 발생 시 약제를 살포하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
• 잎에 구멍이 있을 경우 잎을 살짝 벌려 유층이 확인 되면 신속히 약제처리를 하여 방제한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