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마트팜은 유통 효율화의 거점”
상태바
“스마트팜은 유통 효율화의 거점”
  • 월간원예
  • 승인 2016.08.01 13:13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김정욱 농림축산식품부 창조농식품정책과장

 

스마트팜 확산 정책의 궁극적 목적은?
생산부터 유통, 소비, 수출에 이르는 혁신 거점을 만드는 것이다. 스마트팜은 단순히 생산량 증가와 농작업 편의만 추구하는 것이 아니다. 스마트팜을 통해 영농 규모화와 지역 단위 조직화를 이룰 수 있다. 요즘은 대형 유통업체들도 우수한 농가들을 선정해 직구매하는 것이 트렌드다. 고품질 농산물을 대량 생산하는 농가들 위주로 작물 주산지가 조성되면 유통 효율화가 이뤄질 수 있다. 수출도 마찬가지다. 스마트팜이 확산돼 시설원예가 규모화되면, 예컨대 일본으로부터 파프리카 수입 수요가 늘어났을 때 차질없이 수출할 수 있다.


정부는 스마트팜 부품간 호환성을 위해 표준을 마련하겠다고 발표했다. 진행 상황은?
2015년 12월에 제어기 9종, 그리고 올해 센서류 13종의 표준을 마련, 총 22종을 마련했다.내년부터 스마트팜 정책 관련 농식품부 업무 지침을 통해, 표준화를 따르지 않으면 정부 지원에서 배제하는 등 실효성 있는 방침을 시행할 예정이다. 이는 그동안 스마트팜 부품이 업체마다, 기종마다 달라 호환이 잘 되지 않는다는 농가들의 건의를 반영한 것이다.
고령농들은 스마트팜에 대한 관심이 크지 않은 편이다. 해결 방안은?
정부가 최근 전국의 우수 스마트팜 농가 현황을 조사해본 결과, 68세 이상 고령농들도 꽤 존재했다. 그러나 고령농은 대부분 지금까지 하던 영농 습관을 고수하려는 경향이 강하다. 예컨대 자동 측창 개폐기를 설치할 수 있는데도, 직접 가서 측창을 열어야 안심을 한다든지 한다. 이런 분들은 스마트팜에 대해 막연한 두려움을 갖고 있다. 하지만 조금만 교육을 받으면, 그리 어렵지 않다. 이에 농식품부는 스마트팜 교육을 꾸준히 실시하고 있다. 또 일반 농가들이 체험 가능한 스마트팜 학습 농장 11곳이 전국에 지정돼 있다.

취재/이나래 기자

<자세한 내용은 월간원예 8월호 참조>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