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업전망 2024 주요작목 수급 및 전망
상태바
농업전망 2024 주요작목 수급 및 전망
  • 이지우
  • 승인 2024.02.01 15:06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1. 과일 수급 동향과 전망

주요 과일 재배면적 1% 감소 예상
2024년 생산량은 12% 증가할 전망

2024년 주요 과일 재배면적은 전년 대비 1% 감소한 10만 8천 ha로 전망된다. 면적 비중이 가장 큰 사과 재배면적은 전년과 비슷하겠으나, 배·복숭아·단감은 고령화 및 노목화에 의한 폐원으로 전년 대비 2% 감소할 것으로 예측된다. 포도는 최근 2∼3년간 지속된 샤인머스캣 가격 약세 영향으로 전년 대비 1% 감소할 것으로 전망된다. 
2024년 주요 과일 생산량은 재배면적이 줄지만 단수가 회복되어 전년 대비 12% 증가한 180만 톤 내외로 전망된다. 중장기적으로 주요 과일 재배면적은 연평균 1% 감소하여 2033년 10만 ha 내외가 될 전망이다.

◎ 사과
2023년 사과 재배면적은 전년 대비 2% 감소한 3만 3,789ha이다. 유목면적은 증가하였으나, 성목면적이 줄어 재배면적이 감소세로 전환되었다. 2023년 성목 재배면적 비중은 73%로 전년 대비 1%p 하락한 반면, 유목 비중은 27%로 1%p 상승하였다.
2023년 사과 생산량은 전년 대비 30% 감소한 39만 4천 톤이다. 이는 이른 개화와 개화량 증가에도 불구하고 기상여건 악화로 성목단수가 전년 대비 27% 감소하였기 때문이다.
2024년 사과 재배면적은 전년과 비슷한 3만 3,791ha로 전망된다. 유목면적은 고목 갱신 및 신규 식재 등으로 6% 증가하나, 성목면적은 고목 폐원, 노동력 부족 등으로 전년 대비 2% 감소할 전망이다. 품종별 재배면적 변화는 과거의 추세가 지속되며, 후지계열·홍로·쓰가루·양광 재배면적은 전년 대비 1~4% 감소할 것으로 예측된다.

◎ 배
2023년 배 재배면적은 전년 대비 1% 감소한 9,607ha이다. 유목면적은 국내 육성품종 보급사업이 지속적으로 시행되어 전년 대비 22% 증가하였으나, 비중이 큰 성목면적은 산업단지, 택지 등으로 편입되어 전년 대비 2% 감소하였다.
2023년 배 생산량은 전년 대비 27% 감소한 18만 4천 톤이다. 4월 개화기 저온으로 꽃눈의 흑변 및 고사 피해가 발생하였고, 수정 불량으로 결실률이 저하되어 착과수가 줄었다.
또한, 유체과(숫배) 등의 기형과 발생률이 증가하였다. 2024년 배 재배면적은 성목면적이 줄어 전년 대비 2% 감소한 9,432ha로 전망된다. 성목면적은 경영비 증가와 고령화로 과원 축소, 토지 수용 등으로 전년 대비 2% 감소하나, 유목면적은 국내 육성품종의 신규 식재가 늘어 전년 대비 1% 증가할 것으로 전망된다.

◎ 감귤
2023년 감귤 재배면적은 전년과 비슷한 2만 2,108ha이다. 이중 노지 재배면적은 전년 대비 2% 감소한 1만 5,821ha이며, 시설면적은 4% 증가한 6,287ha이다. 노지면적 비중은 2016년 80% 수준에서 지속적으로 감소하여 2023년에는 72%이었다.
2023년 감귤 생산량은 전년 대비 1% 증가한 61만 5천 톤으로 전망된다. 노지온주 생산량은 재배면적이 감소하였으나, 해거리현상으로 2022년 단수가 감소하였던 서귀포시의 단수가 늘어 전년과 비슷한 42만 8천 톤 내외로 추정된다.
2024년 감귤 전체 재배면적은 전년 대비 3% 감소한 2만 1,566ha로 전망된다. 성목면적은 노지온주의 폐원과 만감류 전환 등으로 전년 대비 3% 감소한 반면, 유목면적은 품종 전환으로 신규 식재가 많아 전년 대비 8%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 복숭아
2023년 복숭아 재배면적은 전년 대비 1% 감소한 2만 127ha이다. 유목면적은 최근 소비자 선호가 높은 천도계 신품종(신비, 옐로드림 등) 식재 증가로 전년 대비 5% 증가하였다.
2023년 복숭아 생산량은 전년 대비 15% 감소한 16만 3천 톤 내외로 추정된다. 이는 개화기 저온으로 착과수가 감소하였고, 여름철 지속된 집중호우 영향으로 낙과 발생이 많았기 때문이다.
2024년 복숭아 재배면적은 전년 대비 2% 감소한 1만 9,820ha로 전망된다. 유목면적은 품종 갱신으로 신규 식재 및 타 품목(샤인머스캣 등)에서의 전환이 늘어 전년 대비 2% 증가할 것으로 예측된다.

◎ 포도
2023년 포도 재배면적은 전년과 비슷한 1만 4,706ha이다. 성목면적은 샤인머스캣 유목의 성목화로 전년 대비 9% 증가한 1만 2,099ha이다.
2023년 포도 생산량은 개화기 저온 피해로 전년 대비 2% 감소한 18만 6천 톤으로 추정된다. 4월 상순의 저온과 하순의 서리로 비가림·노지 작형 위주로 냉해 피해가 발생하였다.
2024년 포도 재배면적은 유목면적이 줄어 전년 대비 1% 감소한 1만 4,520ha로 전망된다. 샤인머스캣과 캠벨얼리 재배면적은 전년 대비 각각 4%, 1% 감소할 것으로 전망된다. 반면, 거봉과 델라웨어 재배면적은 전년 대비 각각 4%, 8% 증가할 것으로 전망된다. 
 

2. 과채 수급 동향과 전망

주요 과채류 재배면적은 비슷
참외, 딸기 재배면적은 줄어들듯

2024년 주요 과채류 재배면적은 전년과 비슷한 4만 5,070ha로 전망된다. 수박, 오이, 토마토 재배면적은 가격 상승기대로 전년 대비 증가하겠으나, 참외, 호박, 딸기, 파프리카 등은 고령화와 전년 출하기 가격 하락 영향으로 정식면적을 줄이려는 농가 의향이 많았다. 2024년 주요과채류 생산량은 단수 증가로 전년 대비 2% 많은 197만 톤 내외로 전망된다. 참외, 호박, 토마토, 풋고추, 파프리카 생산량은 전년 대비 증가할 것으로 전망된다. 수박, 오이, 딸기 생산량은 재배면적 감소 또는 겨울 작형 작황 부진으로 전년 대비 감소할 전망이다.

◎ 딸기
2022/23년 딸기 재배면적은 전년 및 평년 대비 각각 3%, 6% 감소한 5,600ha이었다. 딸기 단수는 전년 대비 3% 증가하였다. 따라서, 딸기 생산량은 재배면적이 감소하였으나 단수가 증가하여 전년과 비슷한 15만 9천 톤으로 추정된다. 신선 딸기 수출량은 2023년 전년(3,738톤) 대비 27% 증가한 4,744톤이 수출되었다.
2023/24년 딸기 재배면적은 고령화와 노동력 부족으로 전년 대비 1% 감소한 5,522ha로 추정된다. 2023/24년 딸기 생산량은 재배면적과 단수 감소로 전년 및 평년 대비 각각 2%, 7% 감소한 15만 6천 톤으로 전망된다.

◎ 토마토
2023년 재배면적은 전년과 평년 대비 각각 12%, 9% 감소한 5,400ha이었다. 단수는 봄철 이후 기상 악화에 따른 작황 부진으로 전년 및 평년 대비 1% 내외 감소한 6,155kg/10a이었다.
따라서 2023년 토마토 생산량은 전년 및 평년 대비 각각 12%, 10% 감소한 33만 2천 톤으로 추정된다.
2024년 토마토 재배면적은 영남과 호남지역에서 수익성 향상 기대로 재배면적이 늘어 전년 대비 3% 증가한 5,573ha로 전망된다. 2024년 토마토 단수는 겨울철 생육이 평년과 비슷하여 여름 및 가을철 작황이 부진했던 전년(6,155kg) 대비 소폭 증가한 6,217kg/10a으로 전망된다. 이에 따라, 2024년 토마토 생산량은 전년(33만 2천 톤) 대비 4% 증가한 34만 7천 톤이 될 것으로 전망된다.

◎ 오이
2023년 오이 재배면적은 전년 출하기 가격 상승으로 면적을 늘려 전년 대비 6% 증가한 4,078ha이었다. 오이 재배면적 비중은 시설 75%, 노지 25%이다. 2023년 오이 생산량은 재배면적과 단수가 늘어 전년 대비 9% 증가한 30만 6천 톤으로 추정된다. 따라서, 2023년 오이 생산량은 전년대비 5% 증가한 27만 5000 t으로 전망된다. 
2024년 오이 재배면적은 2023년 연중 높은 가격으로 재배면적을 확대하려는 농가 의향이 높아 전년 대비 2% 증가한 4,177ha로 예측된다. 2024년 오이 단수는 7,129kg/10a 수준으로 전망된다.

◎ 수박
2023년 수박 재배면적은 전년 및 평년 대비 각각 4%씩 감소한 1만 1,276ha이었다. 단수는 전년 및 평년 대비 각각 1%, 3% 증가한 4,183kg/10a이었다. 2023년 수박 생산량은 재배면적이 줄어 전년과 평년 대비 각각 3%, 2% 감소한 47만 2천 톤으로 추정된다.
2024년 수박 재배면적은 전년 대비 1% 증가한 1만 1,344ha로 예측된다. 2024년 수박 단수는 겨울 작형인 영남지역의 작황 부진으로 전년 대비 3% 감소한 4,068kg/10a로 전망된다.
2024년 수박 생산량은 단수가 줄어 전년 대비 2% 감소한 46만 2천 톤으로 전망된다. 수박 재배면적은 감소세가 지속되어 2033년 1만 348ha일 것으로 전망된다.

◎ 참외
2023년 참외 재배면적은 전년 대비 2% 감소한 4,580ha이었다. 경북은 농가 고령화로 재배 규모를 줄이거나 참외에서 타 작목으로 전환한 농가가 증가하였다. 2023년 참외 단수는 전년 대비 6% 감소한 4,006kg/10a로 추정된다. 2023년 참외 생산량은 재배면적과 단수가 줄어 전년 대비 9% 감소한 18만 4천톤으로 추정된다.
2024년 참외 재배면적은 주 출하지인 경북 성주에서 농가 고령화 등으로 딸기나 벼로 작목을 전환하여 전년 대비 1% 감소할 것으로 예측된다. 2024년 생산량은 재배면적이 감소하나 단수가 늘어 전년 대비 3% 증가한 19만 톤으로 전망된다.

◎ 파프리카
2023년 파프리카 재배면적은 작목 전환(파프리카→토마토 등)으로 전년 대비 1% 감소하여 722ha이었다.
파프리카 단수는 전년 및 평년 대비 각각 5%, 4% 감소한 10,736kg/10a이었다. 2023년 파프리카 생산량은 재배면적과 단수가 줄어 전년 및 평년 대비 각각 6%, 5% 감소한 7만 8천 톤으로 추정된다.
2024년 파프리카 재배면적은 전년 대비 1% 감소한 716ha로 전망된다. 2024년 파프리카 단수는 겨울철 기상 여건 악화로 작황이 부진하였던 전년 대비 4% 증가한 11,117kg/10a로 예측된다.
따라서, 2024년 파프리카 생산량은 면적이 줄지만 단수가 늘어 전년 대비 3% 증가한 8만 톤으로 전망된다.
 

3. 엽근/양념채소 수급 동향과 전망

엽근채소 생산량 지난해 대비 감소예상
양파 재배면적 늘어나고 마늘은 줄듯

2024년 엽근채소(배추, 무, 당근, 양배추) 재배면적은 2023년 대비 2.8% 감소한 5만 9천 ha, 생산량은 3.8% 감소한 376만 9천 톤으로 전망된다. 엽근채소 모든 품목의 생산량이 2023년 대비 감소할 것으로 예상되며, 감소 폭은 당근이 가장 클 것으로 전망된다.
2024년 엽근채소 순수입량은 2023년 대비 1.1% 증가할 것으로 전망되며, 생산량과 순수입량을 고려한 총 공급량은 2023년 대비 3.1% 감소한 441만 8천 톤으로 전망된다.
2024년 양념채소류 재배면적은 양파가 2023년산 가격이 평년보다 높아 전년 대비 5% 증가하나, 마늘은 2023년산 가격 하락으로 3% 감소할 것으로 전망된다. 양파의 경우, 조생양파 면적은 전년보다 1% 증가, 중만생종은 5%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마늘은 대서종 면적이 전년보다 1%, 남도종은 6%, 한지형은 3% 감소할 것으로 나타났다. 건고추는 전년보다 2%감소하고, 대파는 10% 증가할 전망이다.

◎ 배추
2023년 배추 재배면적은 면적 점유율이 가장 큰 가을배추와 여름배추의 면적 감소로 2022년 대비 1.2% 감소한 3만 341ha로 추정된다. 가을배추 생산량 감소의 영향으로 2023년 배추 생산량은 2022년 대비 1.0% 감소하나, 평년 대비 2.1% 증가한 223만 8천 톤으로 추정된다.
2024년 전체 봄배추 생산량은 면적 점유율이 큰 노지봄배추 생산량 증가로 평년 대비 8.6% 증가한 32만 톤 내외로 전망된다.
2024년 시설봄배추 생산량(평년 단수 적용)은 2023년과 평년보다 각각 5.5%, 26.1% 감소한 3만 1천 톤이 될 것으로 전망된다. 2024년 노지봄배추 생산량(평년 단수 적용)은 2023년과 비슷하고 평년 대비 14.4% 증가한 28만 9천 톤이 될 것으로 전망된다.

◎ 무
2023년 무 재배면적은 봄·여름·가을무 재배면적이 증가하여 2022년 대비 8.6% 증가, 평년과 비슷한 2만 327ha이다. 2023년 무 생산량은 재배면적과 단수 증가로 2022년 및 평년 대비 각각 11.7%, 3.7% 증가한 120만 7천 톤으로 전망된다.
2024년 전체 무 생산량은 2023년 및 평년 대비 각각 6.3%, 2.9% 감소한 113만 1천 톤 내외로 전망된다. 무 재배면적은 겨울 무를 제외한 모든 작형의 면적이 감소하여 2023년 및 평년 대비 각각 5.2%, 4.0% 감소한 1만 9,270ha로 추정된다.

◎ 건고추
2023년산 건고추 생산량은 재배면적이 감소하여 2022년산 및 평년 대비 각각 4.6%, 15.4% 적은 6만 18톤이었다. 2023년산 재배면적은 2022년산 및 평년 대비 각각 8.9%, 12.1% 감소한 27,132ha였다. 2023년산 단수는 2023년 여름철(7월) 강우로 평년 대비 3.8% 감소한 221kg/10a이었다.
2023년산(8∼12월) 건고추 수입량은 국내산 도매가격이 높아 2022년(56,862톤) 및 평년(53,702톤) 동기 대비 각각 5.9%, 12.2% 증가한 6만 242톤이었다. 2023년 12월 말 기준, 건고추 재고량은 2022∼2023년산 생산량이 적어 2022년 및 평년 대비 각각 20.1%, 7.9% 감소한 1만 2천 톤 내외로 전망된다.
2024년산 건고추 재배의향면적은 2023년산 및 평년 대비 각각 2.0%, 13.8% 감소한 26,598ha로 전망된다. 2024년산 재배의향면적이 감소함에 따라 2024년 수입량은 14만 3천 톤 내외로 2023년보다 1.1% 증가하며, 장기적으로 2033년 14만 4천 톤 내외로 전망된다.

◎ 마늘
2023년산 마늘 생산량은 재배면적과 단수가 늘어 전년(2022년산) 대비 7.4% 증가, 평년보다 6.3% 감소한 31만 2,438톤이었다. 2023년산 마늘 재배면적은 2022년산 생산량이 줄고 가격이 상승하여 전년(2022년산) 대비 4.0% 증가한 2만 4,629ha이었다. 2023년산 단위면적당 수확량은 1,269kg/10a으로 전년(2022년산) 대비 3.3% 증가, 평년 대비 2.5% 감소하였다. 
2024년산 마늘 재배면적은 전년(2023년산) 대비 2.8% 감소한 2만 3,944ha로 조사되었다. 2024년산 마늘 생산량은 2023년산 대비 2.0% 증가하나, 평년보다는 2.6% 감소한 31만 9천 톤 내외로 전망된다.

◎ 양파
2023년산 양파 생산량은 재배면적 및 단수 증가로 전년(2022년산) 대비 5.1% 증가한 121만 6천 톤이었다.
2023년산 양파 재배면적은 2022년산 저장출하기에 높은 가격이 지속되면서 전년(2022년산) 대비 2.7% 증가한 1만 7,986ha이었다. 2023년산 양파 단위당 수확량은 전년(2022년산)보다 2.3% 증가한 6,759kg/10a이었다.
2024년산 양파 재배면적은 2023년산 수확기(4~7월) 가격이 높은 수준으로 형성되었고, 대체재(마늘) 가격도 하락하여 전년(2023년산) 대비 4.5% 증가한 18,789ha로 조사되었다. 2024년산 양파 생산량은 재배면적 증가로 2023년산 및 평년 대비 각각 11.4%, 3.2% 증가한 135만 4천 톤 내외로 전망된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